[농부칼럼]생산농민과 유통 농업회사법인 간의 중재자가 필요하다.


 

지역의 특화 작물이 생겨 나면서 수 년 전부터 대형 마트에 납품을 하는 농업회사법인이 하나 둘씩 늘어 가고 있습니다 유통 구조를 단순하게 함으로 도매시장을 통해 2~3단계의 도매상 거쳐 재포장 하던 과정을 생략하고 생산자 -> 농업회사법인 -> 소비자로 이어지는 간단한 구조로 시장 전반에 빠르게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또 지역내에 이런 회사들이 늘어남으로 고용 창출의 순기능도 나타나는게 현실입니다.
처음 이 들 회사가 생겨 날 때만 하더라도 농민과 상생의 관계를 통하여 서로에게 이득이 가는 좋은 관계로 출발을 합니다. 하지만 회사가 커지고 기업화가 이루어 지면 어느 순간 갑과 을 의 관계로 변화되는 것을 수없이 봐왔고 겪어 왔습니다.

 

예를 들면 오늘 아침에 3킬로 포장 대추토마토가 도매시장에서 만원에 경매 되었다고 가정하면 회사가 도매시장에서 사온다면 만원 보다는 돈을 더 줘야 그 물건을 살 수 있겠지요 농민 또한 자기 손에  만원이 다 들어오진 않습니다.

 

그 안엔 포장재값 운반료 경매수수료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죠. 처음에 회사가 생겨날 즈음만 해도 후불결제에 부도나면 농산물 납품한 돈을 못 받을까 싶어서 거래하려고 하는 농민이 없다보니 시장가와 같거나 조금 높게 받을 수 있었습니다만 점차 신뢰를 쌓고 기업이 커져 가면서 시장가 보다 낮아지고 지금은 포장재값 경매수수료 운반료 등의 비용을 제외하고 농산물을 매입하는 현실이라고 봐야 합니다

 

몇 년 전 필자의 동생이 뉴질랜드에서 살고 있어서 보름 정도 방문하여 여행하며 느낀점이 있었습니다.

 

뉴질랜드는 농산물을 심기전에 가격을 자치단체와 결정 합니다.
여기는 우리나라 70년대 쌀 처럼 정부나 자치단체가 조금 비싸게 매입하고 소비자에겐 조금 싸게 공급하다 보니 둘 사이에 줄다리기가 있습니다.

 

농민은 더 달라 정부나 자치 단체는 덜 준다 이렇게 실랑이가 벌어질 때 중재자가 등장합니다. 누구의 편도 아닌 중립적 입장에서 서로의 입장을 듣고 가격을 조정해주는 그런 일을 하는걸 봤습니다.

 

양쪽 모두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그의 말에는 수긍합니다. 마치 판사가 판결을 내린 것 처럼 말이죠. 지금 우리 농민과 회사법인 사이에서 그런 중재자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이러한 일을 자치단체에서 공정한 입장에서 해 보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댓글 (0)

문화역서울284의 '시간여행자의 시계'를 다녀와서

문익점

[농부컬럼] 중국 첨단온실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앞에 놓인 국내농업의 우려와 기대

[농부칼럼]생산농민과 유통 농업회사법인 간의 중재자가 필요하다.

시골농부가 바라보는 농업 ICT융복합 지원사업의 아쉬움과 희망

부여의 past and present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