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마당


부여를 걷다. -염창2리-


IMG_3082.JPG

염창2리 들어가는길. 차라도 휭 지나가주니 시원합니다.

IMG_3084.JPG

 

IMG_3089.JPG

회관 뒤 화장실.  남자용은 두개입니다.

IMG_3091.JPG

집들이 모여있기보단 드문 드문 있습니다. 물론 저 큰나무 너머 몇집 더있다는건 오늘 안 사실....IMG_3092.JPG

걷다보니 딸기향이 코 끝을 스칩니다. 수경재배 같아 보이네요.

IMG_3107.JPG

왼쪽은 300년. 오른쪽은 400년 된 보호수입니다. 찍기가 참 애매합니다. IMG_3100.JPG

 

IMG_3098.JPG

 

IMG_3110.JPG

다시 돌아오다보니 발견한 글귀. "남의 말을 좋게합시다" 

 

 

 

롤링배너1번

 



댓글 (1)

블루스카이

2015.06.22 23:05

염창리 마을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백제 때는 사비군에 속했으며 통일신라시대에는 부여군에 속했었다.
나당군이 침공해 들어올 때는 백제군이 고군분투한 전장터가 염창리였으며 사비성이 무너진 후에도 백제군이 산발적인 투쟁으로 끝까지 백제를 위해서 목숨을 바친 군사들의 무덤이 많았던 지역으로 손꼽힌다.
고려 때는 한때 공주군에 속하기도 하였으며 마을의 형성은 백제 때부터 이루어져 오래도록 지속되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초기에 정착한 탐진최씨가 정착하면서 대마을 단위로 발전해 나갔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부여현 대방면의 지역이었다.
백제때 의염창(義鹽倉)이 있어서 염창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상염리, 하염리, 군석리 일부와 석성군 북면의 염창리 일부를 병합하여 염창리라 하였다가 면명 개칭에 따라 부여면 염창리로, 다시 1960년 읍 승격에 따라 부여읍 염창리가 되었다.
면적은 3.21㎢에 가구수는 166호이며 인구수는 417명이다.
80년대 초에 상염마을에 한국조폐공사 부여조폐창이 건립되었다.
군돌마을에는 백제군이 파진산에서 패하고 최후로 나성을 수비할 때 수차의 접전에서 거듭된 패전으로 군사의 수가 너무나 약세이므로 군석 뒷산인 필서봉을 중심으로 군사들을 빙빙돌도록 하니 신라군이 즉시 침공을 하지 못하여 왕을 피난토록 하였다는 전설이 있으며, 군사들이 돌던 곳이라 하여 군돌이라 하고 이를 한자로 군석(軍石)이라 표기하였다.
이 군석마을은 조선 성종조 사헌부 감찰과 삼등현령을 지낸 최응하(崔應河)가 폐허된 마을에 입촌하여 주거케 되었던 바 필서봉 아래인 이곳에 살면 학자가 끊기지 않는 길지라 입촌하였다 한다.
동편마을에 최씨 제각인 영모재(永慕齋)가 있고, ‘성안이’는 나성 안에 있는 마을이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정보출처 : 부여읍 홈페이지

댓글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부여를 걷다. -용정리2구 下-

부여를 걷다. -용정리2구 上-

부여를 걷다. -가증리-

부여를 걷다. -염창 3구-

부여를 걷다. -현북2구-

부여를 걷다. -현북1구-

부여를 걷다. -염창2리-

부여를 걷다. -염창1리-

부여를 걷다. -자왕리-

부여를 걷다. -송간리-

부여를 걷다. -저석1리-

부여를 걷다. -송곡리-

부여를 걷다. -저석 2리-

부여를 걷다. -신정리-

부여를 걷다. -저석 3리-

부여를 걷다. -석목리-

부여를 걷다. -정동리-

부여를 걷다. -6월 중순의 궁남지-

부여를 걷다. -중정리 두번째-

부여를 걷다. -중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