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리 3층석탑


요약설명

고려시대 초기의 탑이다. 자연석같은 바닥돌을 깔고 그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다. 몸돌(옥신석)에는 모서리에 기둥조각을 두는 대신 목탑에서 많이 보이는 감실(부처를 모시는 방) 모양을 새겼다. 백제계 목탑 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각층의 몸돌과 지붕돌의 비례가 현저하게 줄어든다. 지붕돌(옥개석)에는 구멍을 내어 청아한 소리를 내는 풍탁(풍경)을 단 흔적이 있다. 세련된 정림사지오층석탑과 달리 오히려 자연스럽고 편안한 느낌을 준다.

이 탑을 비롯하여 서천 비인오층석탑, 정읍 은선리삼층석탑, 강진 월남사터삼층석탑 등 충청도와 전라도 지방에는 정림사지오층석탑과 비슷한 양식을 보여주는 백제양식을 이어받은 탑들이 여러 개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이다.

 

상세설명

백제의 옛 땅이었던 충청·전라도에는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한 백제계 석탑이 몇 개 전하고 있는데 이 탑 역시 그런 계열에 속하는 탑이다. 땅 위에 자연석에 가까운 바닥돌을 깔고 그 위에 같은 돌로 너비를 좁히면서 3단의 기단(基壇)을 만들었다. 탑신(塔身)은 네 귀퉁이에 위로 오를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기둥 모양을 새겼고, 그 사이에 긴 판돌을 세워 면을 이루게 하였다. 동서남북 사면에 감실모양이 있는데, 우주와 면석의 약화된 모습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감실은 목탑에 많이 나타나던 것으로 불상을 모시는 방을 의미한다. 석탑에서는 대부분 이를 형상화하는데 그쳐 모양만을 새기는 정도이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석탑으로, 전체적으로 탑신의 몸돌이 높고 지붕돌은 지나치게 넓어 안정감이 없어 보인다. 정림사지오층석탑을 모방하였다고는 하지만 조형감각이나 수법에서 훨씬 떨어지는 작품이다. 1931년에 탑신 1층의 몸돌에서 상아불상, 목제탑, 다라니경 조각 등이 발견되었으며, 1962년 해체 수리시에는 2층에서 지름 7㎝, 깊이 12㎝로 사리를 두는 공간이 둥근 형태로 발견되었는데, 그 안에 41개의 사리가 들어있었다. 이 유물들은 모두 국립부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크기변환_IMGP5964.JPG

 

롤링배너1번

 


Profile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신 부여팔경 제7경 대조사 미륵불

신 부여팔경 제6경 장하리 삼층석탑

신 부여팔경 제5경 무량사 매월당

신 부여팔경 제4경 궁남지 연꽃 2

신 부여팔경 제4경 궁남지 연꽃 1

신 부여팔경 제3경 백제탑 석조

대형 금동대향로

보건소 로터리에 있는 성왕상

신 부여팔경 제2경 부소산 산책 고란사의 변천

신 부여팔경 제2경 부소산 산책 당나라 장수 유인원 기공비의 비밀

신 부여팔경 제2경 부소산 산책

신 부여팔경 제1경 금성산 조망

5월의 궁남지 풍경

백제공예문화관 공예작가모임 사비솔솔피어나다

백제문화단지 전통혼례식

장하리 3층석탑

은산 별신제중 독산제와 장승제

석가탄신일

부소산 정문에서 공예체험을 하세요.

부소산 입구 기념품 판매점 모습